[ Jekyll 테마 ] GitHub 블로그 만들기_2
안녕하세요. Kim.YJ 입니다.
이번 포스팅을 통해 Git 과 GitHub 의 연동을 진행해 보겠습니다.
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 Git과 GitHub 의 정의를 잡고 가겠습니다.
[ 웹개발 기초 ] Git 이란?
참고 : https://git-scm.com/book/ko/v2
(공식 Site 한글 매뉴얼)
- 깃(Git)은 리누스 토르발스에 의해 개발된 ‘분산 버전관리 시스템(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s - DVCS) 으로,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사용자들 간의 파일에 대한 작업을 조율하는데 사용된다.
- 여러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하고, 소스코드를 관리 할때 사용된다.
- 로컬에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 (VCS : Version Control System)
- 소스코드 수정에 따른 버전을 관리해주는 시스템
[ 웹개발 기초 ] GitHub 이란?
- 깃허브(GitHub) - The world’s leading software development platform
- 깃허브GitHub는 분산 버전 컨트롤 소프트웨어 깃Git을 기반으로 소스 코드를 호스팅 하고, 협업 지원 기능들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웹서비스입니다.
- 클라우드 방식으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(VCS)
- 자체 구축이 아닌 빌려쓰는 클라우드 개념
[ Git 과 GitHub 차이점 ]
- Git은 로컬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입니다.
- Github는 저장소를 깃허브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.
-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협업할 경우, 오픈소스를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은 경우 등은 Github를 써서 편리하게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만약 혼자 작업하거나 폐쇄적인 범위 내에서의 협업이라면 Git만 사용해도 무방합니다.
[ Git 과 GitHub 연동하기 ]
이전 포스팅을 통해 Homebrew 설치방법과 자세한 설명을 포스팅 하였습니다.
혹시 못보신 분들을 위해 한번더 설치방법과 설명을 되짚어보고 진행하겠습니다.
1.Homebrew 설치
- homebrew는 Mac 환경에서 제공하지 않은 유용한 패기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패기지관리자 입니다.
-
설치 방법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터미널 입력 창에 Homebrew 설치용 스크립트를 가져와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.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2.Homebrew를 통해 Git 설치
- Homebrew를 이용하면 쉽게 Git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.
- 설치하게 되면, Git명령어를 실핼할 수 있습니다.
3.Git config 설정 (Git 계정 설정)
- 다음으로 Git config 설정을 하겠습니다. 이설정을 하게 되면, git push 이후 매번 요구 되는 로그인 정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.
- git config –list 명령어를 통해 초기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Terminal 접속하여 연동
$ cd "연동하고 싶은 폴더"
$ git init
$ git add .
$ 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$ git remote add origin http://github.com/~~ #new repository 주소
$ git push -u origin main
이제 GitBlog 포스팅 과정만 남았습니다.
이 부분은 다음 포스팅으로 설명을 이어 나가겠습니다.